728x90
반응형
의료. 보건분야에서 안전성과 유효성을 입증하기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을 한다
이때 사회과학분야는 캠벨, 의료보건 분야는 코크란 핸드북을 바이블로 하여 연구설계를 한다.
의료보건에서 진실험 설계(RCT)는 양적연구가 많지만 질적연구 및 혼합연구도 많이 쓰는 추세이다.
코크란 핸드북에서 제공하는 체계적 문헌고찰 리뷰매니져는 국제적으로 Authoroty가 있는 프로그램이다
영어로 되어 보기 불편한 사람은 NECA에서 제공하는 체계적 문헌고찰을 보기 바란다.
NECA 연구방법 시리즈 - 의료기술평가방법론: 체계적 문헌고찰 클릭
체계적 문혼고찰은 인문, 사회과학 그리고 의료보건에서 다 사용가능하다.
혹은 질적평가에 관심있는 연구자들은 481가지 가이드라인이 있는 사이트를 소개한다.
https://www.equator-network.org/
하단에 See All 481 reporting guidelines를 클릭한다
왼쪽에 주요연구방법 유형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확인해 볼수있다
특히 현상학적 해석학적 연구는 Qualitive research 를 참조하면 된다.
질평가시 아이디어를 얻을 수있다
체계적문헌고찰에 대해 알아보기전 상단의 첨부한 바이블을 먼저 일고 시작하는편이 연구를 시작하기에
앞서 기본이 될것이다
반응형
LIST
'연구방법론 > 체계적문헌고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체계적문헌고찰의 prospero (0) | 2021.12.01 |
---|---|
질적연구와 양적연구의 비교 (0) | 2021.11.29 |
체계적 문헌고찰 2- 독립된 연구방법 (0) | 2021.11.16 |